CATEGORY

분류 전체보기 (1479)
교회소개 (1)
교회약도 (1)
후원계좌 (1)
대요리문답1 (2)
하이델베르그요리문답 (4)
소요리문답 (1)
좋은글들모음 (49)
설교자료 (12)
연관 블로그 (2)
성경의 공인 (1)
홍수까지의 연표 (1)
이스라엘 분열사 (1)
10대 박해 (1)
성경숫자의 상징 (1)
-------------------- (0)
창세기새벽강해 (142)
출애굽기 새벽강해 (262)
마태복음 새벽강해 (267)
사도행전 새벽강해 (366)
로마서새벽기도 (216)
빌립보서 (0)
- 에베소교회 (1)
- 서머나교회 (1)
- 버가모교회 (1)
- 두아디라교회 (1)
- 사데교회 (0)
- 빌라델비아교회 (0)
- 라오디게아교회 (1)
성경 개관 (0)
- 에스라, 느헤미야 (1)
- 학개 개관 (1)
- 스가랴 개관 (1)
- 사도행전 (1)
- 고린도전서 (2)
- 고린도후서 (2)
- 빌레몬서 (1)
- 야고보서 (1)
기도 (1)
성경 각 권의 주제 (1)
예배순서 (4)
예화 (2)
찬양 (1)
- 온전히 (1)
- 창세기 (4)
- 출애굽기 (1)
- 레위기 (2)
- 민수기 (1)
- 신명기 (1)
- 여호수아 (1)
- 사사기 (1)
- 룻기 (1)
- 사무엘상 (1)
- 사무엘하 (1)
- 열왕기상 (1)
- 열왕기하 (1)
- 역대상 (1)
- 역대하 (1)
- 에스라 (1)
- 느헤미야 (2)
- 에스더 (1)
- 욥기 (3)
- 시편 (1)
- 잠언 (1)
- 전도서 (1)
- 아가 (1)
- 이사야 (2)
- 예레미야 (1)
- 예레미야애가 (1)
에스겔 (1)
- 다니엘 (1)
- 호세아 (1)
- 요엘 (1)
- 아모스 (1)
- 오바댜 (1)
- 요나 (1)
- 미가 (1)
- 나훔 (1)
- 하박국 (3)
- 스바냐 (1)
- 학개 (2)
- 스가랴 (1)
- 말라기 (1)
- 마태복음 (3)
- 마가복음 (7)
- 누가복음 (1)
- 요한복음 (3)
- 사도행전2 (2)
- 로마서 (1)
고린도전서 (0)
고린도후서 (0)
- 갈라디아서 (1)
에베소서 (0)
빌립보서2 (0)
골로새서 (0)
데살로니가전서 (0)
데살로니가후서 (0)
디모데전서 (1)
디모데후서 (0)
디도서 (0)
빌레몬서 (0)
히브리서 (0)
야고보서 (0)
베드로전서 (0)
베드로후서 (0)
요한일서 (0)
- 요한이서 (1)
- 요한삼서 (1)
- 유다서 (1)
- 요한계시록 (1)
붓글씨 (9)
수채화 (1)
공지사항 (0)
- 게시판 (29)
철학.인문학 (8)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ARCHIVE

LINK



회개를 요구하시는 하나님

스가랴1:1-6

러시아 문학 작가 도스토예프스키(Fyodor Mikhailovich Dostoevskii/1821.11.11-1881.2.9)는 1849년 봄 페트라셰프스키 사건에 연좌되었습니다. 페트라셰프스키 사건은 일부 러시아 작가들이 모여서 프랑스의 사회주의자 ‘푸리에’의 저작을 연구하고 러시아의 전제정치와 농노제를 비판하다가 체포된 사건입니다. 이때가 28살이었습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사형대에 묶여 있었습니다. 영하 50도의 추위가 살을 바늘처럼 찔러댔습니다. 도스토예프스키에게 주어진 시간은 단 5분이었습니다. 가족과 친구를 생각하는 데 3분을 사용했습니다. 지난 28년의 삶이 무척 후회되었습니다. “만약 내게 다시 한 번 생명이 주어진다면 정말 보람 있게 살 텐데…, 내 인생이 이렇게 끝나다니…”

그때 멀리서 한 병사가 “사형중지, 사형중지”하면서 급히 달려 왔습니다. “황제께서, 사형집행을 중지하라는 특명을 내렸소.” 도스토예프스키는 극적으로 사형을 면했습니다. 그 때부터 절대자와 인간의 영혼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나는 예수 그리스도가 없는 인간의 삶을 상상할 수조차 없다. 아무리 훌륭한 진리와 부귀가 있더라도 그것이 신앙에 위배되면 나는 그리스도의 편에 설 것이다.”고 했습니다. 그 후로 도스토예프스키는 평생을 주님과 함께 살았습니다. 4절을 봅시다.

너희 열조를 본받지 말라 옛적 선지자들이 그들에게 외쳐 가로되 만군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기를 너희가 악한 길, 악한 행실을 떠나서 돌아오라 하셨다 하나 그들이 듣지 않고 내게 귀를 기울이지 아니하였느니라 나 여호와의 말이니라

I. 열조들을 따르지 말라고 하신 하나님(4절).

論語의 爲政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 중에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옛 것을 알고 새 것을 알면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라는 말입니다. 인생을 알려면 한쪽에만 치우쳐서는 안 된다는 말입니다. 전통적인 것이나 새로운 것을 고루 알아야 스승노릇을 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사람들이 역사를 배우는 것은 현재의 잘못을 고치기 위해서입니다. 과거에 이런 잘못이 있었으므로 우리는 그렇게 하지 말자는 것입니다. ‘과거에 이런 좋은 일이 있었구나’ 우리가 본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역사를 배우고, 살피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본받아야 할 사람들이 있고 본받지 말아야 할 사람들이 우리나라에도 많이 있습니다. 세종대왕, 이순신장군, 백범 김구, 도산 안창호선생 등은 누구나 본받아야 할 사람들입니다. 하지만 나라를 팔아먹은 이완용이나 송병준 등은 영원히 본받지 말아야 할 사람들 중 첫 번째입니다.

이토록 역사적으로 본받아야 할 사람들과 본받지 말아야 할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까지 그들의 업적만 보고서는 친일파인지 애국자들인지 구분할 수가 없습니다. 이광수, 서정주, 노천명, 모윤숙 등이 그렇습니다. 화가로 운보 김기창, 이당 김은호, 김경호, 심형구 등이 그러했고, 홍난파, 현제명 등이 그렇습니다. 언론계로는 김성수, 방응모 등이 친일파들입니다. 708명의 친일파 후손들이 오늘 여러 곳곳에 쳐 박혀 있어서 이들의 영향력 때문에 나라가 시끄럽습니다. 이들을 본받지 말아야 하는데 본받고 있는 이 나라가 안타까울 뿐입니다.

4절을 보면 ‘너희 열조를 본받지 말라’고 했습니다. ‘너희 선조들같이 되지 말라’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 유대인들의 mania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유대정신을 본받자고 합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스가랴를 통하여 유대인들을 좋게 말하지 않습니다. 그들같이 되지 말라는 것입니다. 유대인들은 선민사상이 강한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자기들의 혈통을 크게 자랑했습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으뜸이라 생각했습니다. 자기들의 조상이 얼마나 사악한지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에 의하면 이들은 정말 사악했습니다. 이들은 악([r')한 길과 악한 행실로 하나님을 화나게 하셨습니다. 유대인들은 선지자들의 말들을 전혀 듣지 않았습니다. 유대인들의 조상은 하나님의 말씀을 선지자들이 전하면 즉시 바람에 날려버렸습니다.

유대인들은 하나님과 피의 계약을 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즉시 그 계약을 잊었습니다.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탈출시켰습니다. 애굽 사람들이 쫓아오지 못하도록 홍해를 건넜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율법을 주셨습니다. 다음으로 가나안에 들어가라고 했습니다(신1:21). 그러나 이스라엘은 안 된다고 했습니다. 돌다리를 두드려 봐야 한다고 했습니다. ‘먼저 스파이를 보내보자’고 했습니다(신1:22). 그 결과 어떻게 되었습니까? 우리는 도저히 가나안에 들어갈 수 없다고 했습니다(신1:32). 그래서 지나간 세월이 40년이었습니다.

이스라엘의 2세들을 모아놓고 가나안 땅이 보이는 곳에서 모세가 그들을 교육시키기를 너희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신28장). 순종하면 들어가서 너희 땅이 될 것이다. 그러나 순종하지 않으면 너희들은 그 땅을 빼앗길 것이라 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백성들은 이 말을 귀담아 듣지 않았습니다.

여호수아가 가나안을 정복하고 난 뒤에 이스라엘의 선택을 강조했습니다(수24:15). 이 말에 여호수아 시대에 있었던 사람들은 그 말을 잊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다음세대였습니다. 가나안에 들어간 지 얼마 있지 않아서 이스라엘은 가나안 사람들처럼 되었습니다. 그들과 똑같이 행동했습니다(삿17:6). 이후로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바르게 가도록 하기 위해서 선지자들을 보냈습니다. 특사들을 수없이 보내서 본국인 하나님의 뜻을 전했습니다. 하지만 듣지 않았습니다. 그로 인해서 포로가 되었습니다. 톡톡한 대가를 치른 것입니다.

이러므로 하나님은 그들에게 너희 열조들을 따르지 말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들은 듣지 않았습니다(W[m]v; alw]). 귀를 기울이지 않았습니다(Wbyviq]hi Aalw]). 4절만 해도 ‘만군의 여호와’란 말씀을 두 번이나 강조하십니다. 틀림없었다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데 둔했고, 잊어먹는데 빨랐습니다.

이스라엘의 악한 길과 악한 행실이 무엇입니까? 그들은 하나님을 제쳐두고 우상숭배에 깊이 빠졌습니다(호13:1). 그들은 자신들을 구원하시고 복 주시는 하나님께 철저하게 불순종했습니다(렘7:23-26,28). 발등에 죽음이 떨어져도 하나님을 찾지 않았습니다. 극한 위험이 오면 하나님을 찾다가, 그 위험이 사라지면 하나님을 바로 떠났습니다. 이러기를 수백 년간 반복했습니다. 그런 조상들을 본받을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 선지자들이 바른 말을 한다고 잡아가두고,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다고 톱으로 켜서 죽였습니다. 본받아야 할 근거가 없었습니다.

오늘 우리들은 먼 훗날에 우리 후손들이 우리를 본받을 신앙이 되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혹시 우리 생애에 악한 면은 없었는지 살펴야 합니다. 악한 길로 가고 있는지, 악한 행실에 있는지 살펴야 합니다. 하나님이 악한 행실과 악한 길을 싫어하시기 때문입니다. 특히 하나님께 불순종은 하지 않아야 합니다. 만일에 할 경우에는 하나님께서 고치시기 때문입니다. 불순종하는 자녀를 하나님은 절대 가만두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은 불순종으로 인해서 수많은 어려움들을 겪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하나님께 철저하게 순종합시다. 하나님의 백성이 하나님의 눈 밖에 나면 곤란하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자녀들이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지 않으면 어쩔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스라엘의 조상들과 같이 되지 맙시다. 하나님이 죽으라면 죽읍시다. 일어나라면 일어납시다. 기도하라면 기도하고, 찬송하라면 찬송합시다. 하나님의 말씀에 절대적으로 순종합시다.

하나님께서는 불순종하는 조상들을 따르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오늘 두 번째로

II. 회개하라고 말씀하시는 하나님(1-3, 5-6절).

1 다리오왕 이년 팔월에 여호와의 말씀이 잇도의 손자 베레갸의 아들 선지자 스가랴에게 임하니라 가라사대 2 나 여호와가 무리의 열조에게 심히 진노하였느니라 3 그러므로 너는 무리에게 고하기를 만군의 여호와께서 이처럼 이르시되 너희는 내게로 돌아오라 나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그리하면 내가 너희에게로 돌아가리라 나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5 너희 열조가 어디 있느냐 선지자들이 영원히 살겠느냐 6 내가 종 선지자들에게 명한 내 말과 내 전례들이 어찌 네 열조에게 임하지 아니하였느냐 그러므로 그들이 돌쳐 이르기를 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 길대로, 우리 행위대로 우리에게 행하시려고 뜻하신 것을 우리에게 행하셨도다 하였다 하셨느니라 하라

다리오왕 이년이면 주전 520년입니다. 주전 520년에는 학개에게도 하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스가랴에게 말씀하셨습니다. 학개에게는 6월(8월)이고, 스가랴에게는 8월(10월)입니다. 학개에게는 성전건축을 촉구하셨습니다. 스가랴에게는 이스라엘이 회개하라고 하셨습니다. 학개에게는 보이는 성전을 건축하라 하셨고, 스가랴에게는 회개의 message를 전하게 하셨습니다.

3절을 보면 하나님의 애타는 호소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임했습니다. ‘너희는 내게로 돌아오라(WbWv)’ ‘그리하면 내가 너희에게 돌아가리라(WbWv)’하셨습니다. 내가 이스라엘에게 돌아가고 싶어도 돌아갈 수 없다는 말씀입니다. 그러니 돌아오라는 것입니다. ‘만군의 여호와’라는 이름을 세 번이나 강조하셨습니다. 네가 돌아오면 내가 틀림없이 돌아가겠다는 말씀입니다. 안 돌아가면 내 손에 장을 지진다는 강조법입니다. 너와 나의 관계가 보통사이냐는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돌아오라고 이스라엘에게 애타게 호소하셨습니다.

스가랴를 통해서 이스라엘에게 외친 메시지는 “여호와께 돌아오라. 그리하면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돌아오리라”였습니다. 전혀 새로운 message가 아니었습니다. ‘돌아오라’ 즉 회개하라는 message는 아주 오래된 message입니다. 이스라엘의 역사 속에서 선지자들에 의해 수없이 반복된 message였습니다. 이 message는 동서고금을 초월해서 어느 세대에든 선포되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선포되어야할 message입니다.

사람들은 하나님이 먼저 그들의 삶을 찾아 주실 것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죄인인 우리들이 먼저 하나님을 찾아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때로는 필요에 따라서 먼저 죄인을 찾으시기도 합니다. 그러나 원리적으로 죄인이 먼저 하나님을 찾아야 합니다. 왜 그렇습니까? 죄의 담장이 인간과 하나님 사이를 막고 있기 때문입니다. 죄인이 회개하고 그분을 찾지 않는 한 그분은 그저 기다리고 계실 수밖에 없습니다.

이스라엘에게 요청하시는 이 말씀은 단순히 회개를 촉구하는 말이 아닙니다. 우리가 서로 잘해보자는 것입니다. 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듯이 잘해보자는 말씀입니다. ‘아브라함을 보았느냐? 아브라함은 자식을 바치라고 하니까 실제로 바칠 정도로 순종하더라.’ ‘이삭을 보았느냐? 이삭은 가나안에서 떠나지 말라고 하니까, 한 발짝도 안 나가더라.’ ‘사무엘은 내가 죽으라면 죽는 시늉까지 하더라.’ ‘고라자손들을 보아라, 과거 그들의 조상은 정말 아니었다. 그런데 그들은 어떻게 하나님을 섬겼는가 보아라.’ ‘너희들이 이렇게 나에게 돌아오면 얼마나 좋겠는가?’ 나는 너희들에게 주려고 많은 것을 준비했다. 초일류 음식으로 뷔페를 마련했다. 최고로 좋은 생수로, 최고로 좋은 음료수로 준비했다. 너희들이 거할 주택도 마련했다. 너희들이 무엇을 원하느냐? 별장을 원하느냐? 여름별장을 원하느냐? 겨울별장을 원하느냐? 아니면 둘 다 원하느냐? 알았다. 알았어. 그러니 너희들은 다만 돌아오라. 돌아와서 이야기하자.

하나님의 애타는 호소에 이스라엘은 돌아왔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선지자의 권면을 받아들여 회개했습니다(6절). 그들은 자신들의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 길대로, 우리 행위대로 우리에게 행하시려고 뜻하신 것을 우리에게 행하셨도다’하면서 자신들의 삶을 묵상하며 반성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선지자에게 약속한 것들을 주실 것이고, 미래에 대한 소망을 이들에게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빈말을 하시거나 말씀을 변역치 않으시기 때문입니다.

회개(Repentance)는 우리의 마음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그러므로 너희가 회개하고 돌이켜 너희 죄 없이 함을 받으라 이같이 하면 유쾌하게 되는 날이 주 앞으로부터 이를 것이요. 그러므로 너의 이 악함을 회개하고 주께 기도하라 혹 마음에 품은 것을 사하여 주시리라(행3:19,22)” 회개는 깊이 후회하는 것입니다(고후 7:8). 회개는 잘못을 뉘우치는 것입니다.

회개는 국가적인 회개가 있습니다. ‘여호와의 말씀에 너희는 이제라도 금식하며 울며 애통하고 마음을 다하여 내게로 돌아오라 하셨나니’(욜2:12). 개인적인 회개가 있습니다(시5110-13). 진실한 회개가 있습니다(바울의 회개). 그런가하면 바로와 같이 거짓회개도 있습니다. 에서처럼 효과 없는 회개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진실한 회개를 해야 합니다.

누가복음 15장을 보면 둘째 아들이 회개했습니다(눅15:17-20). “내가 일어나 아버지께 가서 이르기를 아버지여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얻었사오니” 요나는 물고기 뱃속에서 회개했습니다(욘2:2-9). 악랄했던 세무서장인 삭개오가 회개했습니다(눅19:8). 예수님을 부인했던 베드로가 회개했습니다(마26:75, 막14:72, 눅22:62).

회개한 이들은 하나님으로부터 보상을 받았습니다. 둘째아들은 품군으로 식생활만 해결하려 했지만, 아들로 인정해주었습니다. 요나는 바닷속 물고기 뱃속에서 회개했을 때 다시 세상을 볼 수 있었습니다. 삭개오는 주님으로부터 직접 용서를 받았습니다. 예수님과 같이 십자가를 졌던 한 편 사람은, 회개했을 때 천국에 보내졌습니다.

성도여러분, 회개는 내가 죄인이라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하나님께 죄를 졌다는 것을 깨닫고, 죄인을 구원하시는 하나님께 돌이키는 것입니다. 회개는 죄로부터 결정적으로 돌이키는 것입니다. 회개는 죄에 대한 마음의 변화가 있어야 합니다. 죄를 향한 자세의 변화가 있어야 합니다. 동시에 회개는 죄를 포기하는 것입니다.

오늘 우리들은 어떤 것을 회개해야 합니까? 아직도 예수그리스도를 영접하지 않은 사람은 지금 돌이켜야 합니다. 과거의 삶에서 돌이켜 예수께로 가야 합니다. 이전의 삶에서 돌아서서 회개해야 합니다.

이미 구원받은 성도들은 무엇을 회개해야 합니까? 구원받은 이후의 삶을 잘못 살았음을 회개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뜻대로 살지 않고, 말씀대로 살지 못했음을 회개해야 합니다. 제대로 예배를 드리지 못했습니다. 회개해야 합니다. 하나님을 섬기지 않았던 것 회개해야 합니다. 복음을 전하지 못한 것, 증인의 삶을 살지 못한 것, 회개해야 합니다. 주님의 백성으로서 세상에서 제대로 살지 못했음을 회개해야 합니다. 그리고 다시는 이러한 일들을 반복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것이 회개입니다. 회개는 마음의 변화이고, 행동을 고치는 것입니다. 회개는 미래에 대한 소망을 가지는 것입니다.

영국의 윌버포스(William Wilberforce/1759.8.24-1833.7.29)는 많은 노예들을 팔았던 사람입니다. 그러나 그가 회개하자 엄청난 개혁이 일어났습니다. 1780년에 하원의원에 당선되어 의회개혁을 했습니다. 로마가톨릭교도로부터 정치적인 해방을 지원하였습니다. 1784년경부터는 복음주의의 영향을 받아 형법개정에 힘을 기울였습니다. 국민의 도덕적 교화를 위한 조직인 ‘선언협회(Proclamation Society)’를 설립하였습니다. 1787년 노예무역폐지운동의 지도자가 되어 1807년 노예무역폐지법을 성립시켰습니다. 박애주의적인 개혁을 추구하는 복음주의자그룹의 중심인물로서 해외선교운동에서도 크게 활약하였습니다. 그가 죽던 1833년 영국 전역에서 노예제도가 폐지되었습니다.

성도여러분,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는 어떤 관계입니까? 하나님은 창조주이고, 사람들은 그의 피조물입니다. 하나님은 심판자이고, 사람들은 그의 심판대상입니다.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는 하나님은 모든 인류를 관리하시는 분이고, 사람들은 그의 관리를 받는 사람들입니다. 나는 불교도, 나는 천주교도, 나는 힌두교도라는 생각을 아예 하지 말아야 합니다. 사람들은 모두 하나님의 심판아래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들이 회개해야 하며, 그의 뜻대로 살아야 합니다. 한 사람이 회개하면 그 가정이 달라집니다. 한 가정이 회개하면 그 지역이 달라집니다. 그 지역이 회개하면 나라가 달라집니다. 나라가 회개하면 온 세상이 달라집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수시로 회개해야 합니다.

진실한 회개는 매일 우리 자신으로부터 벗어나 예수그리스도께 가는 것입니다. 진실한 회개는 범죄를 그치게 합니다. 진정한 회개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과거를 회개의 눈물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미래를 조심스런 눈으로 바라보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잘못된 조상의 유전을 본받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오늘도 우리로 하여금 회개를 촉구하시고 요청하십니다. 항상 회개하고 새로운 삶의 무대에 나가시기를 바랍니다.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