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분류 전체보기 (1479)
교회소개 (1)
교회약도 (1)
후원계좌 (1)
대요리문답1 (2)
하이델베르그요리문답 (4)
소요리문답 (1)
좋은글들모음 (49)
설교자료 (12)
연관 블로그 (2)
성경의 공인 (1)
홍수까지의 연표 (1)
이스라엘 분열사 (1)
10대 박해 (1)
성경숫자의 상징 (1)
-------------------- (0)
창세기새벽강해 (142)
출애굽기 새벽강해 (262)
마태복음 새벽강해 (267)
사도행전 새벽강해 (366)
로마서새벽기도 (216)
빌립보서 (0)
- 에베소교회 (1)
- 서머나교회 (1)
- 버가모교회 (1)
- 두아디라교회 (1)
- 사데교회 (0)
- 빌라델비아교회 (0)
- 라오디게아교회 (1)
성경 개관 (0)
- 에스라, 느헤미야 (1)
- 학개 개관 (1)
- 스가랴 개관 (1)
- 사도행전 (1)
- 고린도전서 (2)
- 고린도후서 (2)
- 빌레몬서 (1)
- 야고보서 (1)
기도 (1)
성경 각 권의 주제 (1)
예배순서 (4)
예화 (2)
찬양 (1)
- 온전히 (1)
- 창세기 (4)
- 출애굽기 (1)
- 레위기 (2)
- 민수기 (1)
- 신명기 (1)
- 여호수아 (1)
- 사사기 (1)
- 룻기 (1)
- 사무엘상 (1)
- 사무엘하 (1)
- 열왕기상 (1)
- 열왕기하 (1)
- 역대상 (1)
- 역대하 (1)
- 에스라 (1)
- 느헤미야 (2)
- 에스더 (1)
- 욥기 (3)
- 시편 (1)
- 잠언 (1)
- 전도서 (1)
- 아가 (1)
- 이사야 (2)
- 예레미야 (1)
- 예레미야애가 (1)
에스겔 (1)
- 다니엘 (1)
- 호세아 (1)
- 요엘 (1)
- 아모스 (1)
- 오바댜 (1)
- 요나 (1)
- 미가 (1)
- 나훔 (1)
- 하박국 (3)
- 스바냐 (1)
- 학개 (2)
- 스가랴 (1)
- 말라기 (1)
- 마태복음 (3)
- 마가복음 (7)
- 누가복음 (1)
- 요한복음 (3)
- 사도행전2 (2)
- 로마서 (1)
고린도전서 (0)
고린도후서 (0)
- 갈라디아서 (1)
에베소서 (0)
빌립보서2 (0)
골로새서 (0)
데살로니가전서 (0)
데살로니가후서 (0)
디모데전서 (1)
디모데후서 (0)
디도서 (0)
빌레몬서 (0)
히브리서 (0)
야고보서 (0)
베드로전서 (0)
베드로후서 (0)
요한일서 (0)
- 요한이서 (1)
- 요한삼서 (1)
- 유다서 (1)
- 요한계시록 (1)
붓글씨 (9)
수채화 (1)
공지사항 (0)
- 게시판 (29)
철학.인문학 (8)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ARCHIVE

LINK



제사장의 옷(출애굽기28:1-3)

아론과 나답, 아비후와 엘르아살, 이다말을 제사장의 직분을 행하도록 했습니다. 이들은 하나님을 섬기는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였습니다. ‘제사장의 직분’(@h'K;/chahan)은 “제사장 직분을 수행하다”는 뜻으로 중개자의 직분입니다. 하나님의 뜻을 사람에게 중개하고 전달하는 직분입니다. 이스라엘 제사장의 직무는 제사라기보다 신탁의 전달이었습니다(출17:9).

구약의 기름부음 받은 직분은 선지자 왕, 제사장입니다. 성경은 예언자와 제사장 사이를 확실하게 구별하였습니다. 둘 다 하나님의 임명을 받습니다(신18:l8. 히5:4). 그러나 예언자는 백성에게 대해 하나님의 대표자로서 부름을 받았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해석하는 자로 임명되었습니다. 제사장은 하나님께 대한 사람의 대표자였습니다. 그는 하나님께 접근하며 또한 백성을 위하여 말하고, 행동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제사장들은 구약시대에 교사였지만, 예언자들과 달랐습니다. 예언자는 백성들의 도덕적이고 영적인 의무들을 가르쳤습니다. 하나님의 사람들이 져야 할 책임들을 가르쳤습니다. 그리고 특권들을 강조하였습니다. 하지만 제사장은 하나님에게 합당하게 접근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하나님께 접근하기 위한 의식적 준행을 강조하였습니다.

제사장은 백성의 대표자로서 백성들 가운데서 선택되었습니다. 제사장은 하나님에 의하여 임명되었습니다. 제사장은 백성들을 위하여 하나님께 속한 일들, 즉 종교적인 일들을 수행하였습니다. 성경에는 아론과 그의 아들들이 제사장직을 행하였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그리스도의 제사장직이었습니다. 즉 제사장들은 그리스도를 위한 제사장직을 예표한 모형이었습니다. 구약은 오실 구속주의 제사장직을 예언하고 있습니다. 시편110:4과 스가랴6:13은 이것을 명백하게 언급하고 있습니다. 대제사장직은 제사장 직분을 가진 메시야를 예표하였습니다. 제사장의 옷은 거룩한 옷이어야 했습니다. 그들이 거룩하신 자 여호와 앞에 가까이 나아가기 전에(레11:45) 거룩하지 못한 몸을 거룩한 옷으로 가릴 필요가 있었습니다. 이것을 위해서 마음에 지혜 있는 자들에게 말하여 옷을 만들게 하였습니다. 물론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hm;=k]j j'Wr(/rūah hākmāh/루아흐 하크마/지혜로운 영)으로 채우신다고 하셨습니다. 제사장이 입는 옷은 제사장의 특별한 지위와 임무를 나타냅니다. 제복자체가 인간의 사적인 것들이 드러나지 않게 합니다. 우리는 허물이 많은 사람들입니다. 죄와 허물로 얼룩진 사람들입니다. 이 허물들을 우리를 위해서 대속하신 예수님의 은혜로 감추임을 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예수님께 감사해야 합니다. 하나님께도 감사해야 합니다.

'출애굽기 새벽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봇 만들기  (0) 2011.08.02
대제사장의 옷  (0) 2011.07.31
등불관리  (0) 2011.07.29
성막뜰  (0) 2011.07.26
번제단  (0) 2011.07.25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