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루살렘교회에 보고한 베드로(사도행전11:1-18)
이방인들도 하나님의 말씀을 들었다는 것은 예루살렘에 big-news였습니다. 사마리아가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은 어느 정도 예상은 했습니다. 그런데 이방인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다는 것은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다음으로 big-news는 고넬료의 집에 베드로가 들어갔다는 것입니다. 이 상황이 예루살렘에 headline-news였습니다. 그래서 그 내용이 예루살렘에 파다하게 퍼졌습니다. 기독교를 차치하고, 유대의 법을 어겼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베드로는 죄인아닌 죄인이 되었습니다. 베드로는 이방인도 성령을 받았음을 빨리 보고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예루살렘에 올라갔을 때 할례자들이 베드로를 비난했습니다. 원문적으로 보면 심히 구분했다는 말입니다. 할례자들의 비난내용이 무엇입니까? 그들의 비난 내용이 고상할까요? 그들은 이방인 고넬료에게 복음을 전한 것과, 그들을 말씀으로 인도한 것이 아닙니다. 할례자들의 전통을 왜 깼느냐는 것입니다. 할례자들의 전통을 깨고 무할례자들의 집에 가서 먹었느냐는 것입니다.
할례자들의 전통은 유대인 대대로 내려오는 고질적인 고정관념이었습니다. 사도단의 지도자격인 베드로가 유대의 법칙을 깼다는 것입니다. 이 시기에는 예수님의 형제 야고보가 사도들보다 오히려 더 인정을 받고 있었습니다. 할례자들은 특별히 율법에 열심있고 할례자와 무할례자와의 교제를 철저하게 금했습니다. 베드로는 그들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했습니다. 욥바 성에서 기도할 때에 비몽사몽간에 환상을 본 것, 그리고 고넬료를 어떻게 만났는가 등을 자세하게 이야기했습니다. 베드로자신도 환상 중에 할례자로서 먹지 말아야 할 것을 보았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것을 잡아먹으라고 주께서 세 번이나 말했다는 것입니다. 베드로는 자신을 힐난하는 사람들에게 말합니다. ‘내가 누구관대’ 하나님을 능히 막겠느냐고 했습니다.
예루살렘교회는 베드로의 말해 어떤 액션을 취해야 했습니다. 거부하든지, 받아들이든지 해야 했습니다. “저희가 이 말을 듣고 잠잠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 가로되 그러면 하나님께서 이방인에게도 생명 얻는 회개를 주셨도다 하니라” 그들은 뭐라고 할말이 없었습니다. 이 일은 베드로가 한 것이 아니고 하나님께서 하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이방인들에게도 복을 주셔서 생명에 이르는 마음의 변화를 주신것은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그들은 비판을 그쳤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을 찬양했습니다. 이로써 예루살렘 교회는 이방인 복음화의 원리를 받아들였습니다. 아담이 범죄 했을 때 하나님께서는 그의 후손을 통하여 이 세상을 구원할 여인의 후손을 약속하셨습니다. 따라서 여인의 후손을 믿고 구원을 얻는 사람들은 유대인들이 생각하는대로 유대인만이 아니었습니다. 때가 될 때까지 이방인들을 유보했을 뿐입니다. 오늘날 시오니즘을 굉장하게 생각하는 것은 아무래도 잘못된 관점입니다. 하나님은 유대인만의 하나님이 아니라 온 세상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온 세상을 구원하러 오셨지, 유대인들만 구원하러 오시지 않았습니다. 그를 믿는 자마다 구원을 얻는다고 하셨습니다.
'사도행전 새벽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디옥교회 (0) | 2015.04.29 |
---|---|
최초 이방교회/베니게, 구브로, 안디옥 (0) | 2015.04.27 |
고넬료의 가정에 임하신 성령님 (0) | 2015.04.25 |
유대인 베드로가 이방인 고넬료에게 (0) | 2015.04.24 |
베드로를 기다리는 고넬료의 자세 (0) | 201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