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울의 ‘이미’와 ‘아직’의 구속적 긴장(사도행전26:1-3)
박형용 교수는 바울과 오늘날 신학자들은 바울과 똑같은 구속역사의 긴장 속에 처해있다고 했습니다. 바울사도는 예수님의 구속사역 즉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되돌아보고 그리스도의 재림을 바라보는 형편에 있었고, 오늘날의 성도들도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되돌아보고 그리스도의 재림을 바라보는 가운데 있다는 것입니다. 그 사이 무려 2000이란 간격이 있지만 아직도 똑같습니다. 따라서 바울사도와 우리는 같은 긴장 속에 있습니다. 바울사도도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로 성취된 구원사건이 어떻게 인간과 세상에 적용되느냐에 관심을 기울여 서신을 기록했습니다. 오늘날도 같습니다. 바울사도와 함께 ‘말세를 만난’(고전10:11) 사람들로서 그리스도의 사건을 되돌아보고, 다른 한편으로는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 그의 아들이 하늘로부터 강림하심을 기다리는’(살전1:10) 사람들로서 미래를 내다보는 입장에 있습니다. 이처럼 바울사도와 우리는 ‘이미’와 ‘아직’/already-not yet 이라는 구속역사적 긴장 속에 처해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바울사도는 현실만의 말을 하지 않고, 미래적인 요소를 반드시 말했습니다. 우리 역시 구속의 성취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효과가 있느냐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지만 미래적인 요소를 소홀히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점에서 우리는 이 세상에서 순례자(pilgrim)로 살아가야 합니다. pilgrim은 짐이 가벼워야 합니다. 짐이 가벼워야 빨리 옮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현재의 성도들은 그러지를 못하게 됐습니다. 이 땅에 너무나 많은 미련을 두고 있습니다. 이 땅에 좋은 것들이 너무나 많이 있어서 천국으로 떠나기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mammoth 교회당, 상아궁전과 같은 집들, 화려한 agit, 최고급 승용차 등이 너무나 좋아서 쉽게 떠나지 못할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마치 절대로 천국이 없는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입니다.
오늘의 우리들은 천국과 연장선상에 있다는 것을 항상 인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 세상과 천국이 불연속선에 있다고 생각하면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뒤돌아보고 재림을 기다리는 구속역사의 입장으로 볼 때 긴장이 되지 않습니다. 즉 바울시대보다 현시대는 많이 세속화되었습니다. 성도들은 현실을 무시해서도 안 됩니다. 뿐만 아니라 미래지향적임을 무시해서도 안 됩니다. 우리는 이세상과 오는 세상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성도가 현실에 너무나 미련을 두고 이 세상을 천국처럼 여긴다고 하면 큰 문제입니다. ‘이미’와 ‘아직’사이를 모르고 현실에만 안주하고 있다면 더는 성도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바울사도는 어떻게든지 당시 세계의 중심이라고 하는 Roma에 가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유대인들이 말한 죄수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유대의 사정에 밝은 Agrîppa왕 앞에서 변명을 하는 것입니다. 바울사도는 그의 원수들이 격렬하게 비난을 퍼부었을 때도 담대하게 조용히 변명했고, 지혜와 능력으로 그들의 고소내용을 반증했으며, 그들에게 자신의 결백을 주장했습니다. 분노를 터뜨리지 않고 깨끗한 양심으로 그들을 대하였습니다. 아직 그의 사명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인은 항상 사명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사도행전 새벽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해자였던 바울 (0) | 2017.08.05 |
---|---|
바리새인이었던 바울 (0) | 2017.07.21 |
바울의 청문회 (0) | 2017.06.30 |
바울에게 없는 죄목을 어떻게 할까? (0) | 2017.06.17 |
Caligula와 유대인 (0) | 2017.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