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분류 전체보기 (1471)
교회소개 (1)
교회약도 (1)
후원계좌 (1)
대요리문답1 (2)
하이델베르그요리문답 (4)
소요리문답 (1)
좋은글들모음 (48)
설교자료 (8)
연관 블로그 (2)
성경의 공인 (1)
홍수까지의 연표 (1)
이스라엘 분열사 (1)
10대 박해 (1)
성경숫자의 상징 (1)
-------------------- (0)
창세기새벽강해 (142)
출애굽기 새벽강해 (262)
마태복음 새벽강해 (267)
사도행전 새벽강해 (366)
로마서새벽기도 (216)
빌립보서 (0)
- 에베소교회 (1)
- 서머나교회 (1)
- 버가모교회 (1)
- 두아디라교회 (1)
- 사데교회 (0)
- 빌라델비아교회 (0)
- 라오디게아교회 (1)
성경 개관 (0)
- 에스라, 느헤미야 (1)
- 학개 개관 (1)
- 스가랴 개관 (1)
- 사도행전 (1)
- 고린도전서 (2)
- 고린도후서 (2)
- 빌레몬서 (1)
- 야고보서 (1)
기도 (1)
성경 각 권의 주제 (1)
예배순서 (4)
예화 (2)
찬양 (0)
- 온전히 (1)
- 창세기 (4)
- 출애굽기 (1)
- 레위기 (2)
- 민수기 (1)
- 신명기 (1)
- 여호수아 (1)
- 사사기 (1)
- 룻기 (1)
- 사무엘상 (1)
- 사무엘하 (1)
- 열왕기상 (1)
- 열왕기하 (1)
- 역대상 (1)
- 역대하 (1)
- 에스라 (1)
- 느헤미야 (2)
- 에스더 (1)
- 욥기 (3)
- 시편 (1)
- 잠언 (1)
- 전도서 (1)
- 아가 (1)
- 이사야 (2)
- 예레미야 (1)
- 예레미야애가 (1)
에스겔 (1)
- 다니엘 (1)
- 호세아 (1)
- 요엘 (1)
- 아모스 (1)
- 오바댜 (1)
- 요나 (1)
- 미가 (1)
- 나훔 (1)
- 하박국 (3)
- 스바냐 (1)
- 학개 (2)
- 스가랴 (1)
- 말라기 (1)
- 마태복음 (3)
- 마가복음 (6)
- 누가복음 (1)
- 요한복음 (3)
- 사도행전2 (2)
- 로마서 (1)
고린도전서 (0)
고린도후서 (0)
- 갈라디아서 (1)
에베소서 (0)
빌립보서2 (0)
골로새서 (0)
데살로니가전서 (0)
데살로니가후서 (0)
디모데전서 (1)
디모데후서 (0)
디도서 (0)
빌레몬서 (0)
히브리서 (0)
야고보서 (0)
베드로전서 (0)
베드로후서 (0)
요한일서 (0)
- 요한이서 (1)
- 요한삼서 (1)
- 유다서 (1)
- 요한계시록 (1)
붓글씨 (9)
수채화 (1)
공지사항 (0)
- 게시판 (29)
철학.인문학 (7)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ARCHIVE

LINK



교회를 핍박한 유대인들(사도행전12:3)


유대인들은 하나님을 가장 잘 믿는다고 하면서 교회에 가장 많은 해를 끼치고, 공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유대인(!Ioudai'o"/ioudaȋos/이우다이오스)들은 포괄적으로 팔레스타인에 거주하고 있는 유대족속과 로마제국에 분산된 유대인들을 말합니다.

통상 유대인이라면 남왕국인 유다왕국과 베냐민지파의 사람들을 가리킵니다(왕하16:6, 25:25, 대하32:18).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 시대에 여로보암장군이 열지파를 끌고 북쪽에 북왕국을 세우고 이스라엘이라 하였는데 이와 구분하기 위해서 유다왕국이라 했습니다. 또한 히브리민족을 유대인이라고 합니다(에3:6). 포로귀환후의 히브리민족을 유대인이라고 불렀습니다(스5:1). 그런가 하면 이스라엘이 망한 후엔 모든 이스라엘 사람들을 유대인이라고도 했습니다(마27:11, 행2:5). 또한 유대교로 개종한 자들도 유대인이라 했습니다(에8:17). 신약성경에서는 예수님과 교회에 대한 적대자들을 유대인이라 불렀습니다. 이들은 계속해서 예수님과 그의 제자들을 괴롭혔습니다(마28:15, 요3:25,5:10, 고후11:24, 살전2:14-16). 하지만 상징적으로는 모든 신자들을 유대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롬2:28-29).

여러 부류의 유대인들이 성경에 등장합니다. 주로 유대인들은 교회를 핍박했습니다(살전2:14-15). 인종적으로 심한 편견을 가지기도 했습니다(요4:9). 희한하게도 예수를 믿은 유대인들도 있었습니다(요12:10,11)

유대교의 분파는 바리새파, 사두개파, 열심당, 에세네파, 서기관, 헤롯당이었습니다.

바리새파/ 바리새파는 요한 힐카누스의 통치 당시에(주전134-104) 바리새파와 사두개인 사이에 적대감정이 뚜렷했었습니다. 바리새파는 헬레니즘의 타락한 영향으로부터 자신들을 분리시킨 사람들이라는 뜻을 가졌습니다. 바리새인들은 의식적 정결에 관한 율법을 지키는 데 철저했기 때문에 ‘죄인’으로부터 음식이 나 음료 따위를 구매함으로써 자신을 더럽히는 것을 멀리했습니다. 바리새인들은 의식에 대한 모독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자신의 집에 ‘죄인’을 초대하기는 해도, 죄인의 집에 가서 식사하지 않았습니다. 어떤 때는 죄인의 옷이 부정하다 하여 예복을 입은 후에 식사하기까지 했습니다. 그리스-로마문화의 변화 속에서도 율법이 실행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리새인들은 다양한 상황에 율법을 적용시킬 수 있을 자신들의 전통들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들 중 유명한 두 사람은 주전 1세기경에 힐렐(Hillel) 학파와 샴마이(Shmmmai)학파였습니다. 힐렐학파는 온건했습니다. 가난한 자들에게 관대하였고, 유대 정통주의와 양립할 수 있었습니다. 로마의 법을 수용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샴마이학파는 해석있어서 완고하였습니다. 로마에 대해 철저히 배타적이었습니다. 그들의 이러한 주장은 로마에 대한 저항으로 이어져 70년에 예루살렘에 파괴를 초래했습니다. 탈무드에는 힐렐 학파와 샴마이 학파의 서로 상치되는 316가지의 가르침이 실려 있습니다. 바리새파의 율법 해석의 전통은 율법자체와 같은 권위를 갖습니다. 이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바리새인들은 하나님이 시내 산에서 모세에게 주신 율법에는 ‘성문 율법’ 혹은 토라뿐 아니라 ‘구전 율법’(oral law)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구전 율법이 관계가 먼 성문 율법보다 평민의 생활에 더욱 친밀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탈무드의 미쉬나(Mishna)에서는 구전 율법이 성문 율법보다 더욱 엄격하게 지켜져야만 한다고 말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율법의 세목에 보다 더 관심을 갖고 있던 바리새 주의에 대하여 신약성경은 전승이 율법의 진정한 의도를 간과했다고 지적합니다(마15:3). 바리새인 중에는 니고데모, 아리마대 요셉, 가말리엘, 다소의 사울과 같은 인물이 신약성경에 나오는 바리새의 귀족을 대표합니다.

사두개파/ 바리새인과 사두개인들은 신약성경에서 많은 비난을 받습니다. 이들 모두가 예수에 대해 심한 적대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사두개란 말은 ‘의로운’이란 뜻의 ‘싸디킴’에서 유래했습니다. 그 기원은 솔로몬의 제사장인 사독(삼하8:17)이후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두개인들은 예루살렘의 귀족이나 대제사장 무리들로서, 그들은 정치 지도자와의 협조를 통해 부와 권세의 자리를 획득했습니다. 성전관리와 의식의 집행은 그들이 가진 특별한 임무였습니다. 사두개인들은 대중과 따로 떨어져 거의 사귐이 없었습니다. 사두개인들은 율법을 새로운 상황에 적응시키려는 바리새인들의 시도는 토라나 십계명에 대한 권위의 개념을 제한하는 사두개인들에 의해 거부되었습니다. 사두개인들은 부활, 영, 천사를 믿지 않았습니다(막12:18, 눅20:27, 행23:8). 따라서 그들의 신앙은 주로 부정의 연속이었기 때문에 적극적인 정치제도나 종교제도를 수립하지는 못했습니다. 바리새인들은 개종자를 환영했지만(마23:15), 사두개인들은 폐쇄적이었습니다. 대제사장의 가문이나 예루살렘의 귀족이 아니면 아무도 사두개 일원이 될 수 없었습니다. 70년에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자 사두개파도 끝장났습니다.

엣세네파/ 엣세네파와 바리새파는 모두 그 근원을 마카비 혁명 중 헬레니즘에 반대하여 정통주의를 표방하던 지도자들에 두고 있습니다. 바리새인들이 역사적 유대주의 가운데서 엄격한 정통주의를 고수하기는 했으나, 그들이 유대공동체 자체로부터의 분리를 주장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사두개인에 의해 주관되던 성전예배를 바리새인들 또한 자신들의 중요한 종교유산의 일부로 받아들여 존중하였고, ‘죄인들’로 부터의 분리를 주장하면서 그들 가운데 살면서, 그 ‘죄인들’의 기득권을 탐내기까지 했습니다. 유대인의 생활을 타락시키는 영혼들에 대해 더욱 극단적으로 반대하던 분파들을 필로, 요세푸스, 플리니와 같은 고대 학자들은 엣세네파라고 불렀습니다. 그들은 사해 북부 근처의 쿰란에 근거지를 두었던 일단의 무리들처럼 대부분 금욕공동체를 이루고 살았습니다. 엣세네라는 용어는 생활방식에 있어서 다양했던 여러 금욕주의 유대인들을 널리 지칭하는 포팔적인 용어였습니다. 엣세네파들은 여자를 멀리하고 결혼도 하지 않았다고 하는 플리니의 견해가 있는가 하면, 요세푸스는 엣세네파가 결혼의식이 있었다고 했습니다. 고대의 저자들은 엄격하고 청빈한 삶을 영위한 엣세네인들에 대해 호의적으로 말했습니다.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경전이나 다른 종교서적을 연구했으며, 공동체가 자급자족하기 위해 육체노동을 해야만 했습니다. 재산은 공동소유였고, 엄격한 훈련이 감독에 의해 실시되었습니다. 결혼을 포기한 이들은 엣세니즘의 사상을 터득시켜 그 사상을 영원히 존속시키기 위해 어린 아이들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리고 노예제도와 전쟁은 거부했습니다. 엣세네인들은 개종자를 환영했는데, 신입자는 충분한 자격이 있는 구성원이 되기까지 엄격한 훈련의 기간을 거쳐야만 했습니다.

유대인의 죄악들은 여호와를 버리며 이스라엘의 거룩한 자를 만홀히 여겼습니다(사1:4). 여호와를 버리고 이방신들을 섬겼습니다(렘5:19). 술객이 되며 이방인과 더불어 손을 잡아 하나님을 배척했습니다(사2:6). 언어와 행위가 여호와를 항상 거슬렸습니다(사3:8). 자기의 의를 내세웠습니다(롬10:2,3). 심히 외식했습니다(마23:1-31). 교회를 핍박했습니다(살전2:14,15).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박게 했습니다(마27:24-26). 복음을 거절했습니다(행13:46). 이방인을 선동하여 사도들을 핍박했습니다(행14:2). 영적인 진리에 무지했습니다(요3:10).  


 1. 칼빈주석. 

 2. 카일,델리취주석

 3. 구약신학.

 4. 기독교백과사전

 5. 성경관용어사전

 6. 톰슨성경

And